서울약령시

서울약령시 소개

서울약령시
국내 최대의 약재시장으로서
전통과 신뢰를 바탕으로 한
세계 최대의 한약재 전문시장으로
도약
하고 있습니다.

  • 서울약령시 한방산업특구
  • 서울약령시 한방특정개발진흥지구
서울약령시의 어제

조선 17대 왕인 효종(재위1650~1659) 2년에 시작되어 일제 말엽인 1943년까지 약300년간 한약재 교육을 담당했던 특수시장 약령시는 약재료가 주로 많이 생산되는 경상도, 강원도, 전라도에서 모이고 헤어지는 일이 편리한 대구, 원주, 전주의 3개소에서 먼저 시작되었다.

이러한 약령시가 개설된 이유는 각 산지에서 나오는 약재들이 각각 다르므로 인삼을 구하려면 금산을 찾아야 되었고, 반하를 구하려면 제주도로 가야만 했기 때문이다. 그래서 급한 상황에 바로 약을 처방하지 못해 응급환자가 목숨을 잃기도 해 나라에서 의도적으로 약령시를 형성시켰던 것이다.

그 중 서울약령시는 조선시대에 여행자에 대한 무료 숙박과 의지할 곳 없는 병자에 대한 치료를 담당하던 구휼(救恤)기관인 보제원(普濟院)이 있던 곳으로 서울특별시에 유물 제23호로 지정했다. 이러한 구휼정신을 기반으로 근래에 이르러 한의약의 유통, 진료, 투약의 중심지인 한약상가에 전통한의약의 발전과 제세구민을 위한 선조들의 위업을 계승하고자 서울특별시가 서울약령시로 지정한 것이다.

현재, 우리의 모습

오늘날 전국전인 한약재의 집산지인 서울약령시는 유통의 편리함 때문에 1960년대 청량리역을 중심으로 자연발생적으로 형성되기 시작하여 동대문구 제기동 용두동 일대 약 8만여평의 부지에 한의원, 약국, 한약국, 한약방, 한약재상 등 1천여 개 의 한의약 관련 전문업소가 모였고, 경제발전과 더불어 질적·약적 팽창을 거듭하면서 명실상부한 한국 제일의 한약시장 및 한방진료, 투약지역으로 발전하게 되었다.

이러한 급성장을 더욱 발전시키기 위해 약령시장 내의 한의약 관련 단체들로 한약가 협의회를 구성하여 1995년 6월 서울특별시로부터 ‘서울약령시’로 지정 승인받게 되었다. 또한, 2005년 7월 재정경제로부터 서울약령시 한방산업특구로 지정되어 특화산업을 통한 관광인프라 구축으로 관광명소로 발전시키며 지역발전과 경제 활성화에도 크게 기여하였다. 관광인프라 구축의 첫 사업의 결과로 2006년 9월 서울약령시 한의약박물관을 개관하고, 특구지역 내 환경개선사업을 시행하였다. 2012년에는 중소기업청 특성화시장 육성사업과 2013년 7월 서울시로부터 ‘한방특정개발진흥지구’로 선정, 2017년 서울한방진흥센터 완공 및 한의약박물관 이전으로 국내 최대 한방시장으로서 전통과 신뢰를 바탕으로 세계최대 한방시장으로 도약하고 있다.

그뿐만 아니라 강북농수산물검사소를 통해 양질의 한약재가 유통될 수 있는 한약재 품질검사 강화 및 한의약 단체를 통한 자율정화활동, 품질안전제를 실시하고 있으며 각 대한 한약관련 학과와의 산·학·관 공동 프로젝트를 통해 한방의 계승 발전을 도모함으로써 대한민국 건강 1번지를 넘어 세계 최대 한약재 전통시장으로 도약을 기대하고 있다.

보제원(普濟院)
보제원(普濟院)의 고증(考證)기록 및 개요

보제원에 대한 역사적 고증기록을 살펴보면, 「세종실록편(世宗實錄篇)」

“한성부 동서에 보제원(普濟院)과 홍제원(洪濟院)을 설치하고, 기민(飢民)의 진제장(賑濟場)으로 사용하고자 토우(土宇) 2칸을 건립하였다. 그러나 기민은 날로 증가하였으며, 그 중에는 병자 또한 상당히 많이 발생되어 이들을 한 곳에 모아두려니 질병의 전염과 병사(病死)가 우려되어 선공감(繕工鑑)에게 명(命)하여 별도로 원사(院舍)를 건립하고 각 원사에 의원을 두어 병자를 치료하게 하였으며 무의자(無依者)는 제용감(濟用監)에 명하여 의복을 나누어 주도록 하였다. 그 후 보제원(普濟院), 동활원(東活院), 홍제원(洪濟院), 서활원(西活院)에 기민이 계속 증가함에 따라 동활원, 서활원 두 곳에 의원을 늘려 배치하여 병자를 치료하게 하였다.”

고 기록하고 있다.

보제원 표지석(서울특별시 제23호)
소재지
서울시 동대문구 제기2동 148-115
역할
조선시대(1393~1895)에 여행자에게 무료숙박과 병자에게 치료를 담당하던 구휼기관